본문 바로가기
부동산(초급)

부동산 용어 정리-3

by 서치그만 2023. 12. 28.

 

스트레스 DSR

향후 금리인상 가능성을 변동금리 대출의 DSR 산정 시 적용하는 것

예를 들면 소득 6500만 원인 사람이 연 4.5%, 30년 만기로 돈을 빌릴 때 향후 오를 수 있는 금리를 1%p로 설정하면 DSR 산정 시 금리 5.5%를 적용 -> 대출한도는 4억3000만 원에서 3억8000만 원으로 5000만 원 줄어듬


특별공급

주택공급의 정책적 배려가 필요한 무주택자가 대상

일반인과 청약 경쟁 없이 분양받을 수 있도록 하는 제도


추첨제

청약가점과 무관하게 무작위로 당첨자를 선정하는 제도

 

청년월세특별지원

경제적 어려움을 겪는 청년층의 주거 부담을 줄이기 위해 월 20만 원씩 최대 12개월간 월세를 지원해주는 정책

① 부모와 별도로 보증금 5000만 원 이하, 월세 60만 원 이하 주택에 사는 만 19~34세 무주택 청년으로 

② 중위소득의 60%(지난해 1인가구 기준 116만 원) 이하 ③ 부모 포함 원가구 소득이 중위소득 100%(지난해 3인가구 기준 419만 원) 이하라면 복지로(bokjiro.go.kr)를 통해 지원 신청이 가능


 3기 신도시

인천시 계양, 남양주시 왕숙, 하남시 교산, 고양시 창릉, 부천시 대장 등에 아파트 30여만 가구를 짓는 정부의 대표적 주택공급 정책

3기 신도시 개발은 서울 집값을 잡기 위해 시작

3기 신도시 개발지구 대부분이 서울의 경계에서 2km 내외에 위치

서울에서 10km 이상 떨어진 2기 신도시가 열악한 교통 환경으로 서울 집값 잡기에 실패했다는 평가를 참고한 것

 

토지보상

국가가 나랏일을 하기 위해 땅에 대한 국민의 재산권을 강제로 가져가며 보상하는 제도


재산세

매년 6월 1일을 기준으로 주택이나 건물 등을 가졌다면 누구나 내야 하는 지방세 중 하나

 


도시형생활주택

가구당 전용면적 85㎡(약 33평) 이하 평형으로 구성한 300가구 미만 단지형 빌라

‘단지형 연립주택’과 ‘원룸형’ 두 종류로 구분하며 청약통장 없이도 청약이 가능

분양가상한제 대상에서 제외되기에 이따금 고분양가 논란이 일기도 함

 

전원주택

전원(田園)에 지은 집

과거엔 부유층을 위한 집으로 여겼지만 1990년대 이후 삶의 질을 중시하는 사회 분위기에 따라 서민층도 주목하기 시작

장점- 대부분 교외에 지어 건설비가 저렴

단점- 집주인이 모든 걸 관리해야 하는 번거로움

 

주간 아파트 가격 동향

 한국부동산원의 전문 조사원이 현장조사 등을 통해 실거래가 정보를 바탕으로 작성하는 주간 통계

전국 아파트 3만2000가구를 표본

 

달동네

난개발로 만들어진 일종의 빈민촌

사실 달동네라는 명칭이 널리 퍼진 건 1980년 TBC 드라마 <달동네>가 방영되고부터

실제로 1970년대에 그 많던 달동네는 1980~1990년대의 집중적 재개발 붐으로 지금은 많이 사라짐

 


쪽방

크기가 매우 작은 방이나 여러 개로 나뉜 방

보통 6㎡(약 1.8평) 전후의 작은 방으로 보증금 없이 월세로 운영하는 것이 일반적


매입임대주택

기존 집을 LH 등이 사들여 청년을 비롯한 저소득층에게 저렴하게 빌려주는 주택

청년형은 시세의 40~50% 임대료로 최대 6년간 거주 가능


토지임대부주택

국가나 지자체 땅을 빌려 분양하는 아파트

일반 아파트와 달리 건물값만 분양가에 반영해 가격이 싼 대신 땅에 대한 사용료를 매달 내야 하는 단점

 ‘반값아파트’라고도 부름

 


전세보증금반환보증

임대인이 보증금을 제때에 돌려주지 않으면 보증 기관이 대신 갚아주는(대위변제) 상품

보증 기관은 추후 임대인에게 보증금을 회수

 


중위가격

가격 순으로 나열했을 때 중앙에 위치하는 가격

예를 들면 5억, 7억, 9억, 14억, 18억, 22억, 35억 원짜리 주택의 중위가격은 14억 원

평균가격은 약 15억7000만 원

KB부동산에 따르면 2023년 1월 수도권 아파트 중위가격은 5억9167만 원입니다.   

 


중위소득

전체 가구를 소득 순으로 세웠을 때 중앙에 위치하는 가구의 소득

여기에 여러 경제지표를 반영해 산출한 소득은 기준중위소득

2023년 기준 중위소득은 1인가구 207만7892원, 2인가구 345만6155원, 3인가구 443만4816원, 4인가구 540만964원

 


공공택지

정부나 공공기관이 개발한 땅

위례신도시나 미사지구 등이 여기에 해당

정부 주도로 조성해 규모가 크고 훗날 다양한 인프라가 들어옴


용적률

건축할 땅에서 건물 연면적(각 층 바닥면적의 총합계)이 차지하는 비율

예를 들면, 땅 100평 중 70평에 1층 건축물을 지었다면 용적률은 70%, 2층으로 올렸다면 140%

즉 건물을 얼마나 높이 지을 수 있는지에 대한 비율

 

금융자산

눈에 보이지 않는 자산

예금이나 주식 처럼 자체로는 그냥 종이 쪼가리나 컴퓨터에서만 잡히는 자산

KB금융지주경영연구소가 발표한 ‘2022 한국 부자보고서’에 따르면 금융자산이 10억 원을 넘는 개인은 42만4000명


실물자산

자동차, 금 등 형체가 있는 자산.

부동산처럼 그 자체가 재화나 서비스를 생산해내는 특징

아무리 값이 하락해도 휴지가 되는 일도 없어, 미국을 비롯한 선진국과 달리 우리나라 사람들은 실물자산 선호 현상이 뚜렷


시장금리

시장 상황에 따라 자연스럽게 결정되는 금리

한국은행이 개입하지 않은 금리

 

기준금리

한 나라의 금리를 대표하는 정책금리

기준금리를 올리면 시중은행의 금리도 함께 오르고, 기준금리를 내리면 시중은행의 금리도 내려갑니다.

 

패닉셀링

손해를 무릅쓰고 매입한 가격보다 싼 가격에 팔아버리는 투매 현상

 

공시가격

정부가 세금을 부과하기 위해 직접 조사해 정한 부동산 가격

이는 통상 실거래가보다 낮게 책정

너무 높게 잡으면 국민 부담 증가

뉴타운

지역의 ‘자체’ 개발이 아닌 ‘정책’에 의해 시행하는 좀 더 큰 재개발사업

찔끔찔끔 아파트 단지 몇 개를 짓는 게 아닌, 동(洞) 전체를 싹 밀고 광역 아파트 단지로 만드는 것

서울 강북의 길음뉴타운, 미아뉴타운 등이 대표적

'부동산(초급)' 카테고리의 다른 글

부동산 용어 정리-5  (1) 2024.01.01
부동산 용어정리 -4  (0) 2023.12.28
부동산 용어 정리 2  (0) 2023.12.28
부동산 용어 정리  (0) 2023.12.27